반응형
이번엔 정보처리기사에도 자주 등장하는 문제인 소프트웨어 테스트에서의 화이트박스 테스트와 블랙박스 테스트의
차이점에 대하여 간략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특성 | 화이트박스 테스트 | 블랙박스 테스트 |
목적 | 내부 로직, 코드, 알고리즘의 동작을 검증 | 기능, 입출력, 사용자 경험 등을 검증 |
접근 방식 | 코드의 내부에 직접 접근 | 소프트웨어의 외부에만 접근 |
지식 요구 사항 | 시스템의 내부 동작에 대한 지식이 필요 | 시스템 내부 동작에 대한 세부 지식이 필요 없음 |
테스트 디자인 | 구조 기반 테스트, 경로 기반 테스트 등 | 등가 분할, 경계값 분석, 상태 전이 테스트 등 |
테스트 적용 시기 | 주로 개발 초기 단계에서 진행 | 개발 완료 후 사용자 시점에서 진행 |
테스트 커버리지 | 보통 높은 코드 커버리지를 가짐 | 코드 커버리지가 낮을 수 있음 |
수정 및 유지 보수 | 코드 변경 시 테스트 재수행이 필요 | 코드 변경 시에도 외부 동작에만 영향을 미침 |
예시 | 단위 테스트, 통합 테스트, 시스템 테스트 등 | 기능 테스트, 통합 테스트, 시스템 테스트 등 |
위의 표와 같이 정리할 수 있으며, 색상 및 볼드처리 한 부분은 정보처리기사 문제에 몇번 출제된 사항으로 알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관련_배경_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iCloud 비공개 릴레이 (icloud private relay) 란? (0) | 2024.03.31 |
---|---|
암호 알고리즘이란? (0) | 2024.03.06 |
DDos공격과 Dos공격의 종류와 차이점 (0) | 2024.01.17 |
RabbitMQ, Redis, Kafka의 주요 특징 및 차이점 (2) | 2024.01.15 |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6) | 2024.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