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pringFramework | SpringBoot

fixedRate & fixedDelay_SpringScheduled

by Lcoding 2023. 11. 7.
반응형

Spring_Scheduled

 

@Scheduled(fixedRate  = 1000)

@Scheduled(fixedDelay = 1000)

Scheduled Annotation 선언시 위와같이 fixedDelay 또는 fixedRate  옵션을 사용할 수 있으며, 1000은 ms를 뜻한다.
 

둘의 대표적인 차이점은

fixedDelay는 해당 작업이 끝난 시점부터 시간을 세고, 

fixedRate는 해당 작업의 시작 시점부터 시간을 센다.

 
그렇기에 fixedRate일 경우에 작업의 수행시간이 길어지거나 짧아지는 변동이 있다면,

적절한 주기의 실행을 보장하지 못하므로 그때그때 상황에 잘 맞게 사용하여야한다.

반응형

'SpringFramework | Spring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p vs VO  (0) 2023.11.08
HttpURLConnection[GET,POST]  (0) 2023.11.08
MessageCodesResolver  (0) 2023.11.07
[래핑] ContentCachingRequestWrapper & ContentCachingResponseWrapper  (0) 2023.11.07
Actuator_SpringBoot  (0) 2023.11.07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