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T API URI 작성 요령
1. 소문자를 사용한다
대문자는 때로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URI를 작성할 때는 소문자를 선호한다.
RFC3986은 체계 및 호스트 구성요소를 제외하고 URI를 대소문자를 구분하여 정의한다.
2. 언더바대신 하이픈을 사용한다.
가독성을 위해 긴 Path를 표현하는 단어는 하이픈으로 구분하는 것이 좋다.
프로그램의 글자 폰트에 따라서 언더바 문자는 문자가 부분적으로 가려지거나 숨겨질 수 있다. 혼란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하이픈을 사용한다.
3. URI의 마지막에는 슬래시를 포함하지 않는다.
후행 슬래쉬는 의미가 전혀 없고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많은 웹 구성 요소와 프레임워크는 다음 두 URI를 동등하게 취급한다.
4. 계층관계를 나타낼 때는 슬래시 구분자를 사용해야한다.
슬래시 문자는 URI의 경로 부분에서 자원 간의 계층적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한다.
행위는 포함하지 않는다.
행위는 URL대신 Method를 사용하여 전달한다.
5. 파일 확장자는 URI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파일 확장자는 URI에 포함하지 말아야한다. 대신에 Content-Type 이라는 헤더를 통해 전달되는대로 미디어 타입을 사용하여 body의 콘텐츠를 처리하는 방법을 결정한다.
Rest API클라이언트는 HTTP에서 제공하는 형식 선택 메커니즘인 Aceept 요청 헤더를 활용하도록 권장해야 한다.
6. 전달하고자 하는 자원의 명사를 사용하되, 컨트롤 자원을 의미하는 경우 예외적으로 동사를 허용한다.
7. URI에 작성되는 영어를 복수형으로 작성한다.
하나의 인스턴스를 복수형으로 표시하는게 영어 문법적으로 맞지 않겟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URI의 형식을 복수형으로 사용하는 것이 실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SpringFramework | Spring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Boot의 메인 메서드의 풀이 (0) | 2023.11.09 |
---|---|
SOLID원칙이란? (0) | 2023.11.09 |
Properties에 디비 관련 설정[개발,운영] (0) | 2023.11.09 |
MyBatis에서 mapper.xml 재기동 없이 반영하기. (0) | 2023.11.08 |
Map vs VO (0) | 2023.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