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 function
- JavaScript 에서 최상위 객체
- 함수를 호출할 때는 window.함수명(), 함수명() 으로 호출이 가능
1) window.alert("메시지");
일반적인 alert
2) boolean window.confirm("메시지");
- 일반적인 confirm / 확인을 누르면 true, 취소를 누르면 false 반환.
3) String window.prompt("메시지", "기본값");
- 메세지 입력가능한 창을 출력해줌. 입력받은 메시지를 반환 [input태그와 비슷]
4) window.open("url", "팝업명", "속성들(가로, 세로, x좌표, y좌표 등)")
- 새창으로 팝업창을 열거나 현재창을 이동하기도함. _blank / _self
5) window.close();
- 현재 창을 닫음. window.open으로 새창을 열었을때 opener.close로 부모창을 닫을수도있음.
6) setTimeout("함수명", 1000분의 1초 단위)
- 특정 시간이 지난후에 실행, timer 객체를 반환, 중지하려면 clearTimeout(timer 객체);
7) setInterval("함수명", 1000분의 1초 단위)
- 특정 시간마다 반복 호출 timer 객체를 반환, 중지하려면 clearInterval(timer 객체);
8) escape(string) / unescape(string)
- 한국어,일본어,중국어등 2바이트인 언어들을 UTF-8로 인코딩하거나 UTF-8 형식으로 인코딩된 값을 디코딩
9) encodeURI(string) / decodeURI(string)
- 인코딩 / 디코딩
10) encodeURIComponent(string) / decodeURIComponent(string)
- 알파벳과 숫자외에 대부분 문자를 인코딩 / 디코딩
11) eval(string)
- 매개변수에 있는 값을 JavaScript 코드로서 해석
12) inNaN()
- 숫자가 아니면 true, 숫자면 false 를 반환한다.
13) parseInt("문자열")
- 숫자로 시작하지 않으면 NaN 을 반환, 숫자로 시작하고 중간에 문자가 있으면 숫자 부분만 반환.
14) onload
window.onload = function() {
alert('페이지 전체가 로드되었습니다.');
};
// window.addEventListener('load', (event) => { alert('페이지 전체가 로드되었습니다.')}); 위와 같다.
15) onbeforeunload는 화면 새로고침,닫기,뒤로등으로 화면을 떠날때 발생
window.onbeforeunload = function() {
return false;
};
16) onunload는 화면 새로고침,닫기,뒤로등으로 화면을 떠날때 발생
window.addEventListener("unload", function() {
navigator.sendBeacon("/analytics", JSON.stringify(analyticsData));
};
* onbeforeunload 와 onunload의 차이는
사용자가 페이지를 떠나려 할 때 onbeforeunload 이벤트가 뜨고 (떠나기 전 확인을 위해),
마지막으로 떠나기 직전 onunload 이벤트 호출한 다음 페이지 내 이벤트 루프를 종료시킵니다.
그렇기 때문에 onunload 에서 수행할 수 있는 스크립트는 한계가 있으며,
ajax의 경우 async 옵션을 꺼야지 동작합니다.
참고로 onbeforeunload 이벤트는 모바일에서 동작하지 않습니다. (성능 및 보안 이슈)
'Web_Front > Html+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IFrame이란? (0) | 2024.03.20 |
---|---|
HTML에서 이미지에 흑백 처리 하기 (1) | 2023.11.22 |
HTML에서 공백 넣기 (0) | 2023.11.22 |
타임리프 기본 문법 (0) | 2023.11.15 |
CSS Animation vs Javascript Animation (0) | 2023.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