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pringFramework | SpringBoot32 스프링 Transactional 정리 @Transactional @Slf4j static class CallService { //메서드 내부호출에서는 this.internal이 실행되므로 Transactional이 적용되지않는다. // 적용하려면 별도의 클래스로 분리하여야한다. public void external() { log.info("call external"); printTxInfo(); internal(); } @Transactional public void internal() { log.info("call internal"); printTxInfo(); } private void printTxInfo() { boolean txActive = 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isActualTransact.. 2023. 11. 10. spring 뷰 선택 우선 순위 스프링에는 뷰선택의 우선순위가 존재한다. 뷰 선택 우선순위 BasicErrorController 의 처리 순서 1.뷰템플릿 resources/templates/error/500.html resources/templates/error/5xx.html 2.정적리소스(static,public) resources/static/error/400.html resources/static/error/404.html resources/static/error/4xx.html 3.적용 대상이 없을 때 뷰 이름(error) resources/templates/error.html 2023. 11. 10. [Mybatis] useGeneratedKeys와 selectKey autoincrement가 걸린 PK값을 바로 사용하고싶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방법1 항상 useGeneratedKeys와 keyProperty는 함께 사용하면 된다. INSERT INTO example (name, email ) VALUES (#{name}, #{email} ) 방법2 마이바티스는 자동생성키 칼럼을 지원하지 않는 다른 데이터베이스를 위해 다른 방법 또한 제공한다. 바로 selectKey를 이용하는 것이다. 아래 예제에서 selectKey구문이 먼저 실행되고 userCode 최대값에서 1씩 증가되게끔 셋팅된다. 그리고 나서 insert 구문이 실행된다. 이건 복잡한 자바코드 없이도 데이터베이스에 자동생성키의 행위와 비슷한 효과를 가지도록 해준다. SELECT IFNULL(MAX(userC.. 2023. 11. 9. SpringBoot의 메인 메서드의 풀이 일반적으로 스프링부트 프로젝트를 생성하였을때 최초에 생성되는 메인메서드는 아래와 같다. package cohttp://m.example.start;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SpringBootApplic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web.embedded.tomcat.TomcatServletWebServerFactory;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web.server.WebServer;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web.servlet.server.Servlet.. 2023. 11. 9. SOLID원칙이란? SOLID란 로버트 마틴이 2000년대 초반에 명명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및 설계의 다섯 가지 기본 원칙을 마이클 페더스가 두문자어 기억술로 소개한 것이다. 이 원칙들은 애자일 소프트웨어 개발과 적응적 소프트웨어 개발의 전반적 전략의 일부다. 객체지향 설계의 5대 원칙이란 SRP(단일 책임 원칙), OCP(개방-폐쇄 원칙), LSP(리스코프 치환 원칙), ISP(인터페이스 분리 원칙), DIP(의존 역전 원칙)을 칭하며 각각의 앞자를 따서 SOILD 원칙이라 한다. S SRP 단일 책임 원칙 (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하나의 클래스는 하나의 책임만 가져야 한다. 변경이 있을때 파급효과가 적으면 단일책임 원칙을 잘 따른것이다. 응집도가 높고 결합도가 낮게 설계하라는 기본.. 2023. 11. 9. REST API URI 작성 요령 REST API URI 작성 요령 1. 소문자를 사용한다 대문자는 때로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URI를 작성할 때는 소문자를 선호한다. RFC3986은 체계 및 호스트 구성요소를 제외하고 URI를 대소문자를 구분하여 정의한다. 2. 언더바대신 하이픈을 사용한다. 가독성을 위해 긴 Path를 표현하는 단어는 하이픈으로 구분하는 것이 좋다. 프로그램의 글자 폰트에 따라서 언더바 문자는 문자가 부분적으로 가려지거나 숨겨질 수 있다. 혼란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하이픈을 사용한다. 3. URI의 마지막에는 슬래시를 포함하지 않는다. 후행 슬래쉬는 의미가 전혀 없고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많은 웹 구성 요소와 프레임워크는 다음 두 URI를 동등하게 취급한다. 4. 계층관계를 나타낼 때는 슬래시 구분자.. 2023. 11. 9. 이전 1 2 3 4 5 6 다음 반응형